연보
-
1894년(1세)
- 경기도 광주군 초월면 서하리 사마루 67번지에서 평산 신씨 장례원경을 지낸 단(壇)공과 어머니 정경란 여사 사이에서 5남 1녀 중 막내로 출생
관련이미지1234
-
1898년(5세)
- 5세부터 맏형 규희(揆熙)에게서 천자문을 배우기
시작하여 10살 때에는 사서삼경(四書三經)을 완독
관련이미지5
-
1905년(12세)
- 광주읍 남한산성에 설립된 공립광주 보통학교에
입학하였다가 3개월 만에 자퇴 - 8월 30일(음력) 부친상
1. 신익희 생가(경기도기념물 134호)/2. 신익희 생가(2016)
3. 서하리 전경/4. 정경란 여사/5. 맏형 신규희
-
1908년(15세)
- 3년 부친상 탈상
- 상경, 관립한성외국어학교 영어과에 입학
-
1910년(17세)
- 연안 이씨 참판 명재(命宰)의 3녀 승희와 결혼
- 관립한성외국어학교 졸업
-
1912년(19세)
- 일본 와세다 대학(早稻田大學) 정치경제학부 입학
관련이미지1
-
1913년(20세)
- 여름방학 때 귀국하여 고향에 광동강숙 설립
관련이미지2
-
1914년(21세)
- 재일본동경조선유학생학우회 학회지 ≪학지광≫ 발행
관련이미지3
-
1917년(24세)
- 일본 와세다 대학 정치경제학부 졸업 귀국 후
중동학교에서 교편생활 - 보성법률상업학교로 옮겨 비교헌법, 국제공법,
재정학 등 강의 - 『일분몽구 一分夢球』1,440자의 새 '천자문' 작성
관련이미지4
-
1918년(25세)
- 최린·송진우 등과 독립운동 방향 논의 손병희 자금
- 손병희 자금 협조로 만주·북경·상해 등지의 독립운동 단체 순방
- 국내외에서의 3·1운동 동시 궐기 협의
1. 일본유학시절 한국인(동창생 앞줄 맨 오른쪽)/2. 광동강숙설립취지서 /3. 학지광 제 2호
4. 일분몽구 一分夢球 1,440자의 새 ‘천자문’
-
1919년(26세)
- 귀국 후 3·1운동 계획 수립
- 서울역과 남대문에서 제2차 만세시위 지휘
- 상해로 망명
-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의원
- 임시헌장 기초위원
- 임시정부 내무차장 겸 내무총장 서리
- 국무원 제1호 조직체인 연통제(聯通制) 공포, 실시
관련이미지12
-
1920년(27세)
- 임시정부 내무총장·외무총장 대리, 국무원 비서장
-
1921년(28세)
- 법무총장, 문교부장, 외교부장, 의정원 부의장 등 역임
- 항일 전선인 한중호조사(韓中互助社) 창립
관련이미지3
-
1922년(29세)
- 의열단 단원 김상옥의 국내 잠입 주도
관련이미지4
-
1923년(30세)
- 국내의 가족, 북경으로 망명
- 중국 국민군 제2군 중장으로 한중 청년 5백명 모집,
유격대 일종인 분용대 조직
-
1926년(33세)
- 의열단 단원 나석주의 국내 잠입 주도
-
1927년(34세)
- 중국 국민당의 남경 정부 심계원에 근무
관련이미지5
-
1929년(36세)
- 남경에서 한국혁명당 조직
- 한국혁명당 산하 철혈단 조직
- 한국혁명당 기관지 『우리의 길』 발행
-
1933년(40세)
- 남경에서 김규식・ 김원봉 등과 대일전선통일동맹
(對日戰 線統一同盟) 결성
-
1935년(42세)
- 신한독립당, 의열단, 조선혁명당, 한국독립당,
미주의 대한인독립당 등 통합, 민족혁명당 조직
-
1937년(44세)
- 조선민족투쟁동맹 조직
- 중국 각지에서 항일선무공작 지도 및 강연
-
1940년(47세)
- 대한민국 임시정부, 기강에서 중경으로 이전할 때
책임자
-
1941년(48세)
- 한중문화협회 조직, 상무위원에 피선
-
1942년(49세)
- 김원봉 등과 조선의용대 결성
- 한중선무공작대 ・ 조선의용대의 적전 공작과 척후
공작 지도 - 중경 임시정부 외교연구위원회 위원
-
1945년(52세)
- 해방 후 임시정부 요원의 귀국 절차, 중국 정부당국과 주중(駐中) 미군 당국과 교섭
- 임시정부 내무부장으로 임정 요원들과 제2진으로 환국
관련이미지6
1. 중국망명직후 청년 해공
2. 대한민국 임시의정원(1919. 10 앞 줄 맨 왼쪽 신익희, 가운데 도산 안창호)
3. 임시의정원 신년 축하(1921. 1. 1)
4. 김상옥 의사(동아일보 1923. 3. 16일자 관련 기사)
5. 30대 신익희
6. 임시정부요원 환국직전(중경) (앞 줄 맨 오른쪽 신익희)
-
1946년(53세)
- 임시정부 내무부장의 명의로 반탁 총파업 지령, 정치공작대 조직
- 대한 반공연맹 결성, 총재 피선
- 국민대학 설립기성회조직 (고문:김구,김규식 / 명예회장:조소앙 / 회장:신익희)
- [자유신문사] 사장 취임
- 대한독립촉성국민회(大韓獨立促成國民會) 부위원장
- 국민대학 설립, 초대 이사장·학장
관련이미지12
-
1947년(54세)
- 임법의원 본회의에서 신탁통치반대 피력
관련이미지3
1. 임시정부 환국 후 첫 국무회의 개최 기념촬영(경무대) (앞줄 오른쪽부터 신익희, 조소앙, 김규식, 김구)
2. 국민대학 개교기념 촬영(1947. 2)/3. 창성동 2층신축교사낙성식(1949. 9)
-
1948년(55세)
- 제헌 국회의원(경기도 광주) 당선
- 이승만 후임으로 국회의장에 피선
- 대한국민당 결성, 위원장에 피선
관련이미지1
-
1950년(57세)
- 민주국민당 조직, 위원장에 추대
- 국회방미사절단 단장, 미국 의회 방문
- 제2대 국회의원에 재당선(경기도 광주)
- 제2대 전기 국회의장에 피선
관련이미지234
-
1951년(58세)
- 자유중국 감찰위원장 우우임 초청으로 대만 방문
관련이미지5
-
1952년(59세)
- 임시수도 부산에서 제2대 후기 국회의장에 피선
관련이미지6
-
1953년(60세)
-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 대관식 참석
- 친선 우방 26개국 순방
- 민주학회 조직
관련이미지7
1.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동지들과 제헌 국회의원 당선 축하 기념촬영(1948.5)/2. 친선 우방 순방 후 귀국
3. 6·25 전쟁 중 평양시민 격려연설(1951. 10 평양부청)/4. 국민대학 제1회 졸업장 친필 사인(1950.6)
5. 자유중국 방문 시 우우임과 기념촬영/6. 국회의장 당선(1950)
7. 26개국 순방 중 스코틀랜드 민족 영웅 뒤발레라와 접견
-
1954년(61세)
- 제3대 국회의원 당선(경기도 광주)
- 이승만의 사사오입 개헌 후 호헌동지회 결성
관련이미지1
-
1955년(62세)
- 민주당 창당, 당수 취임
관련이미지2
-
1956년(63세)
- 민주당 대통령 후보에 지명
- 30~40만 인파속 한강 백사장에서 선거유세
- 지방유세차 호남선 열차 안에서 뇌일혈로 급서
- 국민장 엄수, 도봉산 수유리에 안장
관련이미지345
1. 3대 대통령 선거 유세 차량(대통령 후보 신익희, 부통령후보 장면)
2. 민주당-전남순천지구 결성/3. 영결식 장면(서울운동장)
4. 40만 청중 앞에서 한강 연설/5. 민주당사와 선거유세물